무더운 여름철, 에어컨 사용량이 늘어나면서 전기요금 부담도 커지고 있습니다. 하지만 주택용 에너지 캐시백 제도를 활용하면 전기 사용을 효율적으로 관리하면서 전기요금 일부를 현금으로 돌려받을 수 있습니다. 에너지 캐시백 신청방법 알아보겠습니다.
🔎 에너지 캐시백 주요 실천 방법
- ①
에너지소비효율 1등급 제품 사용하기– 고효율 가전제품으로 전기 사용량을 줄일 수 있습니다. - ②
여름철 실내온도 26℃ 유지하기– 적정 온도 유지로 불필요한 전력 소비를 막습니다. - ③ 에어컨과 선풍기 함께 사용하기 – 선풍기와 병행하면 에어컨 온도를 높여도 시원함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.
- ④ 에어컨 필터 2주마다 청소하기 – 필터 청소로 냉방 효율을 높이고 전기 낭비를 줄입니다.
- ⑤ 사용하지 않는 플러그 뽑기 – 대기전력 차단으로 전기요금 절감에 도움을 줍니다.
- ⑥ 쿨맵시 실천 – 시원한 옷차림으로 에어컨 사용량을 줄일 수 있습니다.
🔻🔻🔻
에너지 절약과 캐시백 신청 관련 자세한 정보를 확인하세요.
📌 에너지 캐시백 신청 대상 및 제외 대상
주택용(가정용) 전기를 사용하는 고객이 신청 대상입니다.
- ❗ 참여 제외 고객
- 전기요금을 관리비에 포함하여 납부하는 아파트 중 사용 전력량 정보가 미제출된 고객
- 신규 전기사용 등으로
직전 1개년 동일월사용 전력량 정보가 없는 고객 - 한국전력공사가 시행하는 타 에너지 절약 프로그램 참여 고객
🔻🔻🔻
온라인 또는 방문 신청 방법을 자세히 안내합니다.
🎯 에너지 캐시백 신청 방법
신청 주소지에 주민등록된 구성원이 온라인 또는 방문 신청할 수 있습니다.
- 온라인 신청
- 포털사이트 네이버 등에 ‘한국전력공사 에너지캐시백’ 검색
- 한국전력공사 고객센터(
123) 문의하여 신청경로 문자 수신 - 한국전력공사 ON에 접속하여 신청
- 방문 신청
- 본인 확인을 위해 신분증(주민등록증, 운전면허증 등) 지참 후 전국 한국전력공사 사업소 방문
🔻🔻🔻
신청 절차를 쉽게 따라 하실 수 있습니다.
🍀 캐시백 산정 및 지급 기준
캐시백은 절감량(kWh)을 기준으로 산정됩니다.
- 절감량(kWh) =
직전 2개년 동일기간 평균사용량– 절감활동기간 사용량 - 절감률(%) = 해당기간 절감량 ÷
직전 2개년 동일기간 평균사용량 × 100
캐시백 지급 기준은 절감률에 따라 구간별로 차등 지급됩니다. 직전 2개년 평균 대비 3% 이상 절감 시 절감률의 30%를 한도로 1kWh당 30원~100원까지 지급합니다. (2024년 1월분부터 적용)
절감률 구간 | 3% 이상 ~ 5% 미만 | 5% 이상 ~ 10% 미만 | 10% 이상 ~ 20% 미만 | 20% 이상 ~ 30% 이하 |
---|---|---|---|---|
단가 | 30원/kWh | 60원/kWh | 80원/kWh | 100원/kWh |
[지급 예시] 직전 2개년 평균사용량이 332kWh인 고객 기준
절감률 | 절감량[kWh] | 캐시백 |
---|---|---|
4% | 14 | 420원 (14kWh × 30원/kWh) |
7% | 24 | 1,440원 (24kWh × 60원/kWh) |
11% | 37 | 2,960원 (37kWh × 80원/kWh) |
22% | 74 | 7,400원 (74kWh × 100원/kWh) |
에너지 절약 실천과 함께 전기요금도 절감하고, 캐시백 혜택까지 받는 일석이조의 기회를 꼭 활용해 보시기 바랍니다.
반응형